이영곤의 작은 공간 큰 세상

6박스 모델의 창시자는 칼 바인더 박사이다. 6박스 모델은 ▲업무수행에 대한 기대와 피드백 ▲인적.물적 자원과 지원 ▲공정한 평가와 보상 ▲역량개발 지원 ▲업무분장 ▲업무수행 동기와 열정 등 여섯 가지 범주에서 각각의 성과에 저해되는 요인들을 제거해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다. MS, 인텔, AT&T, HP, 오라클 등 글로벌 기업들이 이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강의개요

- 강의제목 : 6박스 모델을 활용한 성과관리
- 강의주관 : 유니드
- 강의일시

  . 1차 : 2017년 8월 9일 (4 hrs)

  . 2차 : 2017년 8월 11일 (4 hrs)

  . 3차 : 2017년 8월 23일 (4 hrs)

  . 4차 : 2017년 8월 25일 (4 hrs)

강의후기

유니드에서 6박스 모델을 활용하여 성과관리 강의를 진행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6박스 모델? 금시초문이다. 

 

6박스 모델의 창시자는 칼 바인더 박사이다. 6박스 모델은 ▲업무수행에 대한 기대와 피드백 ▲인적.물적 자원과 지원 ▲공정한 평가와 보상 ▲역량개발 지원 ▲업무분장 ▲업무수행 동기와 열정 등 여섯 가지 범주에서 각각의 성과에 저해되는 요인들을 제거해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다. MS, 인텔, AT&T, HP, 오라클 등 글로벌 기업들이 이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과정 진행을 위해 6박스 모델에 대한 심도깊은 공부를 했다. 관련 사례를 검토하고 이론적 배경도 찾아보는 등 과정 준비에 많은 시간을 보냈다. 다음은 이 모델을 성과관리와 연결하여 설명하고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액션 플랜으로 도출하는 것이다.

 

요청받은 강의목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성과지향적 업무관리를 위한 6박스 모델을 이해한다.

- 6박스 모델을 활용하여 개인의 업무를 성찰한다.

- 스스로 강화해야 할 동기부여 요소를 탐색한다.

 

강의는 이론 설명, 해당 모듈에 대한 다양한 액티비티, 6박스 모델 양식에 맞추어 성찰 및 탐색요인 작성 등으로 진행했다. 해당 모듈 별 적절한 실습과 사례를 제공한 결과 모두 농도깊은 수업에 참여할 수 있었다. 만족스러운 강의를 진행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과정은 오직 유니드만을 위해 개발된 과정이라 다른 기업으로 확산이 쉽지 않겠다는 아쉬움이 있다. 그 누가 “6박스 모델을 활용한 성과관리”라는 주제를 또 요청하겠는가? 다만 새로운 주제를 열성으로 공부하고 기존의 내 이론과 6박스 모델을 접목해 본 과정에서 배운 나의 성찰이 나를 성장시켰다.

 

과정 설계 및 모듈 별 활동에 아이디어를 더해 준 박혁종 강사,이한결 선생등에게 감사의 마음을 보낸다. 

 

유니드 실무자 대상 '6박스 모델을 활용한 성과관리' 강의
유니드 실무자 대상 '6박스 모델을 활용한 성과관리' 강의
유니드 실무자 대상 '6박스 모델을 활용한 성과관리' 강의
유니드 실무자 대상 '6박스 모델을 활용한 성과관리' 강의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